본문 바로가기

준수 이해

모든 WCAG 2 성공 기준은 콘텐츠가 이를 만족하는지 객관적으로 판별하기 위한 점검 가능한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성공 기준 점검에는 자동화된 점검과 인간 평가의 조합이 포함된다. 다양한 유형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사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사람들이 콘텐츠를 점검해야 한다.

맥락 상 점검 및 점검 가능하다는 것은 기능 점검을 의미한다. 즉, 콘텐츠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거나 이 경우 성공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콘텐츠가 모든 성공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다양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항상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수 기능 점검 외에 사용성 평가도 권장됩니다. 사용성 평가는 사람들이 의도된 목적에 맞게 콘텐츠를 얼마나 잘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성 평가를 수행할 때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평가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준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표준에 대한 준수는 표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거나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WCAG 2에서는 '요구 사항'이 성공 기준이다. WCAG 2를 준수하려면 성공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즉, 성공 기준을 위반하는 콘텐츠가 없어야 한다.

참고

이는 성공기준이 적용되는 콘텐츠가 없으면 성공기준을 만족한다는 의미이다.

대부분의 표준에는 한 가지 준수 수준만 있다. 다른 상황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접근성을 요구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해 WCAG 2에는 세 가지 수준의 적합성이 있으므로 세 가지 수준의 성공 기준이 있다.

준수 요구 사항 이해

콘텐츠가 WCAG 2에 '준수'한 것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충족해야 하는 5가지 요구 사항이 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요구 사항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섹션은 발생할 수 있는 질문을 해결하거나 다양한 준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방법의 새로운 예를 제공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될 것이다.

요구사항 1 이해

준수 수준(Conformance Level): 다음 적합성 수준 중 하나를 완전히 충족한다.

  • 레벨 A 준수(최소 준수 레벨)의 경우 웹 페이지는 레벨 A 성공 기준을 모두 만족하거나 이를 준수하는 대체 버전이 제공된다.
  • 레벨 AA 준수를 위해 웹 페이지는 레벨 A 및 레벨 AA 성공 기준을 모두 충족하거나 레벨 AA를 준수하는 대체 버전이 제공된다.
  • 레벨 AAA 준수를 위해 웹 페이지는 레벨 A, 레벨 AA 및 레벨 AAA 성공 기준을 모두 충족하거나 레벨 AAA를 준수하는 대체 버전이 제공된다.

참고

준수는 명시된 수준에서만 달성될 수 있지만 저작자는 달성된 준수 수준을 넘어서 모든 수준에서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진행 상황을 보고하는 것이 좋다.

참고

일부 콘텐츠에 대해서는 AAA 레벨 성공 기준을 모두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사이트에 대한 일반 정책으로 AAA 레벨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 좋다.

첫 번째 요구사항은 준수 수준을 다룬다. 이는 기본적으로 페이지의 모든 정보가 해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준수 대체 버전을 따르거나 이를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요구 사항은 최소한 레벨 A 성공 기준을 모두 충족하지 않으면 준수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참고 사항에서는 저작자가 특정 수준의 준수를 넘어 더 높은 수준의 준수를 위한 진행 상황을 완료하고 보고하도록 권장된다는 점을 짚는다.

준수하는 대체 버전을 제공하는 기법이 포함된 준수 대체 버전 이해도 참조하라

요구사항 2 이해

전체 페이지: 준수(및 준수 수준)은 전체 웹 페이지에만 적용되며 웹 페이지의 일부가 제외되면 달성할 수 없다.

참고

준수를 판별하기 위해 페이지 콘텐츠의 일부에 대한 대체 수단은 페이지에서 직접 얻을 수 있는 대체 수단(예: 긴 설명 또는 동영상의 대체 표현 제시)을 페이지의 일부로 간주한다.

참고

저작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콘텐츠로 인해 준수할 수 없는 웹 페이지 저작자는 부분 준수 선언문을 고려할 수 있다.

참고

전체 페이지에는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게 페이지에서 자동으로 표시되는 페이지의 각 변형이 포함된다(예: 반응형 웹 페이지의 변형). 전체 페이지가 준수하려면 이러한 각 변형이 준수해야 한다(또는 준수하는 대체 버전이 있어야 함).

이 조항은 단순히 전체 페이지가 준수하도록 요구한다. "페이지 일부가 준수함"에 대한 설명은 작성할 수 없다.

경우에 따라 한 페이지의 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를 다른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HTML의 longdesc 속성이 그 예이다. longdesc를 사용하면 그래픽에 대한 긴 설명이 사용자가 그래픽이 있는 페이지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페이지에 있을 수 있다. 이는 해당 콘텐츠가 웹 페이지의 일부로 간주되어 단일 웹 페이지로 간주되는 웹 페이지 조합 세트에 대해 요구 사항 #2가 충족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참고

준수 요구 사항 5로 인해, 페이지의 일부가 접근성 지원이 없는 콘텐츠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페이지의 나머지 부분을 방해하지 않고 모든 정보와 기능을 페이지의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 전체 페이지는 이를 준수할 수 있다.

미준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준수 요구 사항 5 이해를 참조하라.

요구 사항 3 이해

절차(process) 완료: 웹 페이지가 과정(즉,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완료해야 하는 일련의 단계)을 나타내는 일련의 웹 페이지 중 하나일 때 과정의 모든 웹 페이지는 지정된 수준 또는 더 나은 수준을 준수해야 한다. (과정 중의 페이지가 해당 수준 이상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특정 수준에서는 준수가 불가능하다.)

온라인 상점에는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페이지가 있다. 과정의 일부인 모든 페이지가 준수하려면 처음부터 끝까지 일련의 모든 (결제) 페이지가 준수해야 한다.

이 조항은 과정 전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 더 큰 과정의 일부인 웹 페이지가 이를 준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면 쇼핑 및 구매 프로세스의 일부인 결제 또는 사이트의 기타 기능이 준수하지 않는 경우 쇼핑 사이트가 준수로 분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구 사항 4 이해

사용 기술의 접근성 지원 방식만 사용: 성공 기준을 충족하려면 사용 기술접근성 지원 방식에만 의존해야 한다. 접근성이 지원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공된 정보나 기능은 접근성이 지원되는 방식으로도 제공되어야 한다. (접근성 지원에 대한 이해 참조)

이 준수 요구 사항은 아래 접근성 지원 이해에 설명되어 있다.

요구 사항 5 이해

불간섭: 접근성 지원이 안되는 방식으로 기술이 사용되거나 부적합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페이지의 나머지 부분에 접근하는 기능을 차단하지 않는다. 또한 웹 페이지 전체는 다음 조건 각각에 따라 준수 요구 사항을 계속해서 충족한다.

  1.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의존하지 않는 기술이 켜진 경우
  2.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의존하지 않는 기술이 꺼진 경우
  3. 의존하지 않는 기술이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또한 다음 성공 기준은 준수를 위해 별도로 의존하지 않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페이지의 모든 콘텐츠에 적용된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페이지 사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1.4.2 - 오디오 제어,
  • 2.1.2 - 키보드 함정 방지,
  • 2.3.1 - 3회 또는 임계값 이하의 번쩍임, and
  • 2.2.2 - 일시정지, 중지, 숨김.

참고

페이지가 준수할 수 없는 경우(예: 준수 점검 페이지 또는 예제 페이지) 준수 범위 또는 준수 선언에 포함될 수 없다.

이는 기본적으로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모든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접근성 지원이 없는 자료가 간섭하지 않는 한, 접근성을 지원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근성을 지원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거나 접근성을 지원하는 기술을 비준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접근성이 지원되지 않는 자료가 방해하지 않는 한 모든 정보는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준수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페이지 이용 방해 문제를 다루는 4가지 조항이 있다. 이 네 가지가 여기의 참고 사항에 포함되어 있다. 각 조항에 대한 참고 사항은 접근성이 지원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포함하여 모든 콘텐츠에 대해 이러한 성공 기준을 충족해야 함을 나타낸다.

웹 페이지에는 "ZAP"이라는 새로운 대화형 그래픽 기술이 통합되어 있다. ZAP는 접근성을 지원하지 않지만 ZAP에 표시되는 정보는 HTML 페이지에도 표시되므로 ZAP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페이지는 준수 요구 사항 #1을 통과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ZAP 콘텐츠를 탭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초점이 ZAP 개체로 떨어지며 거기에 고정된다. 일단 안으로 들어가면 사용자가 다시 초점을 맞추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따라서 키보드 사용자는 페이지 하단을 사용할 수 없다. ZAP 콘텐츠도 다양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밝게 깜박이며 멈추지 않는다. 따라서 주의력 결핍이 있는 사람은 주의가 산만해지며, 광과민성 발작 장애가 있는 사람은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준수 요구 사항 #5는 준수한 페이지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준수 선언 이해

준수하기 위해 준수 선언을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선언을 하는 경우 준수 선언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Schema.org는 웹 페이지 내에 검색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옵션 중 하나를 제공한다. 설명적인 접근성 속성 세트는 CreativeWork 유형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페이지의 전체 접근성에 대한 요약(예: WCAG 준수 선언)을 포함하고 콘텐츠의 접근 가능한 기능(예: , 대체 텍스트의 가용성, 확장된 설명 및 캡션), 잠재적인 위험(예: 깜박임)에 대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이 정보는 RDFa, JSON 및 마이크로데이터를 사용하여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속성과 예상 값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웹 스키마 위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Schema.org 메타데이터로 강화된 선언이다.

               <div typeof="WebPage" vocab="http://schema.org/">
               <p property="accessibilitySummary">On 23 March 2009, all content available on the server at <a href="http://www.wondercall.example.com">http://www.wondercall.example.com</a> conforms to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at <a href="https://www.w3.org/TR/2008/REC-WCAG20-20081211/" >https://www.w3.org/TR/2008/REC-WCAG20-20081211/</a>. Single-A conformance.</p>
               <ul>
               <li>The technology that this content "<a>relies upon</a>" is: HTML 4.01.</li>
               <li>The technologies that this content "<strong>uses but does not rely upon</strong>" are: CSS2, and gif.</li>
               <li>This content was tested using the following user agents and assistive technologies: Firefox 1.5 on Windows Vista with Screenreader X 4.0, Firefox 1.5 on Windows XP SP 2 with Screenreader X 3.5, IE 6.0 on Windows
               2000 SP4 with Screenreader Y 5.0, IE 6.0 on Windows 2000 SP4 with Screenreader Z 2.0, and Firefox 1.5 on Windows XP SP2 with Screenreader X 4.0, Safari 2.0 with OS X 10.4.</li>
               </ul>
               <p>This page includes both <span property="accessMode" content="textual">text</span> and <span property="accessMode" content="visual">images</span>. <span property="accessibilityFeature" content="alternativeText">Alternative text</span> is included for all image content and <span property="accessibilityFeature" content="longDescription">long descriptions</span> are also provided for images that require more than simple alternate text. All content is available in text, which can be accessed by assistive technology.</p>
               </div>
            

때로는 특정 날짜 이후에 추가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선언하고 싶을 수도 있다. 또는 최신 콘텐츠에 대해 WCAG 1.0 준수를 선언하고 해당 날짜 이후에 생성되거나 수정된 ​​콘텐츠에 대해 WCAG 2.0을 선언할 수도 있다. 어떤 페이지가 어떤 WCAG 버전을 준수한다고 주장하는지 명확하다면 WCAG 2.0에서는 이러한 관행을 금지하지 않는다.

참고

"의존"하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사용자 에이전트(브라우저, 보조 기술 등)가 아닌 웹 콘텐츠 기술(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준수 선언은 일반적으로 준수 범위 내의 각 웹 페이지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3자 콘텐츠로 인한 부분적 준수 선언

저작자가 제3자 구현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WCAG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제3자 콘텐츠를 포함하여 페이지의 모든 콘텐츠가 모든 WCAG 성공 기준을 충족하면 페이지는 WCAG를 준수한다. 그러나 저작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이유로 인해 페이지가 WCAG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 저작자는 부분적 준수를 선언할 수 있다. 이는 미준수에 대한 진술이며 이 페이지의 일부 콘텐츠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텐츠가 저작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이유 중 하나는 해당 콘텐츠가 제3자(블로그, 포털, 뉴스 사이트)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웹 페이지에는 제3자 라이브러리, 플러그인 또는 위젯을 통한 콘텐츠가 포함될 수도 있다.

웹 페이지 저작자의 승인 없이 변경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한 번 준수한 페이지가 갑자기 준수하지 못할 수 있다. 제3자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고 복구할 수 없는 경우 페이지의 미준수 부분을 사용자에게 식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웹 페이지의 나머지 부분이 WCAG를 준수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는 제3자 콘텐츠의 부분적 준수 선언에 적합하다.

성공 기준을 넘어서는 추가 조치에 대한 정보

준수 선언의 선택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접근성 향상을 위해 성공기준을 넘어서는 추가 조치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에는 충족된 추가 성공기준, 구현된 조언 기법, 특정 장애 또는 요구사항을 가진 사람들의 접근성을 돕기 위해 사용된 추가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지의 접근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정보라면 무엇이든 포함될 수 있다.

준수 선언 보고를 위한 메타데이터 사용

콘텐츠에 준수 선언을 첨부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표준 형식으로 첨부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행이 널리 보급되면 검색 도구나 특수 사용자 에이전트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더 접근하기 쉬운 콘텐츠를 찾아 제공하거나 사용자 에이전트가 콘텐츠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선언을 만들기 위해 개발 중인 메타데이터 기반 옵션이 많이 있으며 저작자와 도구 개발자는 이를 지원하도록 권장된다.

또한 레벨 A 준수를 달성하면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별 성공 기준에 대한 준수를 보고할 수 있다.

자세한 준수 정보에 대해 기계가 읽을 수 있는 Evaluation and Report Language (EARL)과 같은 프로그래밍 방식의 보고 형식도 개발 중이다. 보고 형식이 공식화되고 이에 대한 지원이 개발되면 여기에 문서화된다.

준수 선언을 위한 기법

준수 선언을 위한 조언 기법

  • Dublin Core 요소로 WCAG 2.0에 대한 준수 선언 표현(링크 추가 예정)

준수 수준 이해

첫째,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포함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조건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모든 성공기준은 모든 사용자가 겪을 수 있는 단순한 사용성 문제를 넘어서는 장애인의 중요한 접근 문제여야 한다. 즉, 접근성 문제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그 문제가 비장애인보다 장애인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야기해야 한다(그래야 이 접근성 지침의 대상이 된다).
  2. 또한 모든 성공기준은 점검 가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페이지가 성공기준을 충족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높은 수준의 신뢰도로 성공기준을 충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면 기계와 사람의 평가를 조합하여 성공기준을 판별할 수 있다.

실무 그룹은 다양한 상호작용 이슈를 고려하여 성공기준에 세 가지 준수 수준 중 하나를 할당했다. 수준을 설정할 때 평가된 공통 요소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성공 기준이 필수적인지(즉, 성공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보조 기술로도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 성공 기준이 적용되는 모든 웹 사이트 및 콘텐츠 유형(예: 다양한 주제, 콘텐츠 유형, 웹 기술 유형)에 대해 성공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 성공 기준에 콘텐츠 제작자가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지(즉,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은 일주일 이하의 교육으로 획득할 수 있음)
  • 성공 기준이 웹 페이지의 "외관 및 느낌(look & feel)" 및/또는 기능에 제한을 가하는지 (성공 기준이 저작자에게 부여할 수 있는 기능, 프리젠테이션, 표현의 자유, 디자인 또는 미학에 대한 제한)
  • 성공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해결 방법이 없는지

접근성 지원 이해

많은 성공 기준은 보조 기술이나 주류 사용자 에이전트의 특수 접근성 기능(예: 미디어 플레이어의 '자막 표시' 옵션)을 통해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성공 기준은 보조 기술이 사용자에게 콘텐츠 정보를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주제로 이동하기 위해 클릭해야 하는 그림은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찾아서 표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림에 대한 대체 텍스트가 제공되지 않는 한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다. 여기서 핵심은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즉 "접근성 지원" 방식으로 대체 텍스트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사용자 지정 컨트롤이 있다. 이 경우 표준 사용자 에이전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대체 수단을 제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름, 역할, 값, 설정 방법 등 컨트롤에 대한 정보가 보조 기술이 이해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면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면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에 접근할 수 있으려면 두 가지 일이 발생해야 한다. 첫째,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이러한 새로운 기술이 실제로 작동하려면 사용자 에이전트와 보조 기술을 다시 설계하거나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접근성 지원"은 이 두 가지가 모두 완료되었으며 해당 기술이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과 함께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근성 지원'에 필요한 보조 기술 지원 수준

이 주제는 웹 기술이 "접근성 지원"으로 간주되기 위해 웹 기술을 지원해야 하는 보조 기술의 수 또는 종류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WCAG 실무 그룹과 W3C는 지원되는 접근성으로 분류되기 위해 웹 기술을 지원해야 하는 보조 기술 또는 지원 기술의 수를 지정하지 않는다. 이는 복잡한 주제이며 환경과 언어에 따라 다르다. 이 주제에 관해 외부적이고 국제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이 주제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참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웹 기술의 접근성 지원은 환경에 따라 다르다.

    • 웹 기술은 회사에 배포된 특정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에 의해서만 지원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의 이전 버전이거나 최신 버전일 수 있다.)
    • 웹에 공개 게시된 콘텐츠는 이전 버전을 포함하여 더 광범위한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과 함께 작동해야 할 수도 있다.
  2. 웹 기술의 접근성 지원은 언어(및 방언)에 따라 다르다.

    • 다양한 언어와 국가별로 다양한 수준의 구형 보조 기술 지원이 있다. 일부 환경이나 국가에서는 무료 보조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3. 새로운 기술은 구형 보조 기술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 분명히 새로운 기술은 과거의 모든 보조 기술에서 지원될 수 없으므로 모든 보조 기술에서 기술을 지원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4. 단일 구형 보조 기술에 대한 지원은 일반적으로 충분하지 않다.

    • 특정 장애에 대해 단 하나의 보조 기술을 통한 지원은 일반적으로 충분하지 않다. 특히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보조 기술이 필요한 대부분의 사용자가 해당 보조 기술을 갖고 있지 않거나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여기서 예외는 회사 직원이 모두 하나의 보조 기술(해당 유형)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정보가 배포되는 것이다.
  5. 현재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보조 기술은 매우 열악한 경우가 많다.

    • 장애가 있는 일반 대중이 사용할 수 없는 콘텐츠 제작은 지양해야 한다. 많은 경우 보조 기술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그 비용은 너무 높다. 또한 오늘날 무료 또는 저비용 AT의 기능은 너무 열악하여 웹 콘텐츠를 이 최저(또는 중간) 공통 분모로 현실적으로 제한할 수 없다. 이는 해결해야 할 매우 어려운 딜레마를 만든다.

따라서 실무 그룹은 어떤 것이 지원을 구성하는지 정의하는 것으로 제한했고, 지원해야 하는 보조기술의 양, 수 또는 종류에 대한 판단은 조직, 구매, 계층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하는 해당 상황에 더 가까운 계층이나 단체에 맡겼다.

실무 그룹은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강력한 보조 기술이 부족하여 사용자, 기술 개발자 및 저작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기 때문에 사회의 일반 포럼에서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논의할 것을 장려한다.

"접근성 지원"의 기술적 정의

기본적으로 웹 콘텐츠 기술은 사용자의 보조 기술이 웹 기술로 작동할 때 그리고 주류 기술의 접근성 기능이 해당 기술에서 작동할 때 "접근성 지원"이다. 특히, 접근성 지원 기술 자격을 얻으려면 해당 기술에 대해 다음 사항이 충족되어야 한다.

접근성 지원

사용자의 보조 기술과 브라우저 및 기타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기능으로 지원된다.

웹 콘텐츠 기술(또는 기술의 기능)의 접근성 지원 사용 자격을 얻으려면 웹 콘텐츠 기술(또는 기능)에 대해 1과 2를 모두 충족해야 한다.

  1. 웹 콘텐츠 기술이 사용되는 방식은 사용자의 보조 기술(AT)에 의해 지원되어야 한다.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방식이 콘텐츠의 인간 언어로 사용자 보조 기술과의 상호 운용성에 대해 검사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2. 웹 콘텐츠 기술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접근성 지원 사용자 에이전트가 있어야 한다. 이는 다음 네 가지 진술 중 하나 이상이 사실임을 의미한다.

    1. 이 기술이 접근성을 지원하는 널리 배포된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된다.(예: HTML 및 CSS)

      또는

    2. 이 기술이 접근성을 지원하는 널리 배포된 플러그인에서 지원된다.

      또는

    3. 콘텐츠는 대학이나 기업 네트워크와 같은 폐쇄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술에서 요구하고 조직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도 접근성이 지원된다.

      또는

    4. 기술을 지원하는 사용자 에이전트는 접근성을 지원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다운로드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 장애인이 장애가 없는 사람보다 더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으며 그리고
      • 장애가 없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장애인도 쉽게 찾고 얻을 수 있다.

접근성 지침 실무 그룹과 W3C는 웹 기술이 접근성이 지원되는 것으로 분류되기 위해 특정 사용에 대해 어느 정도의 보조 기술 지원이 있어야 하는지를 명시하지 않는다. ("접근성 지원"에 필요한 보조 기술 지원 수준을 참조하라.)

웹 기술은 접근성을 지원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전체 페이지가 준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한, 특히 준수 요구 사항 4준수 요구 사항 5를 포함하여, 이에 의존하지 않는 한 허용될 수 있다.

웹 기술이 "접근성 지원"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해서 전체 기술이나 사용된 모든 기술이 지원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HTML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술은 최소한 하나의 기능이나 용도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WCAG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경우에만 페이지가 WCAG를 준수한다.

여러 버전이 있는 웹 콘텐츠 기술을 인용할 경우 지원되는 버전을 명시해야 한다.

저작자가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의 용법을 찾는 한 가지 방법은 접근성이 지원된다고 문서화된 용법 모음집을 참조하는 것입니다. (접근성 지원 웹 기술 사용 이해를 참조하라.) 저작자, 회사, 기술 공급업체 또는 기타 사람들은 웹 콘텐츠 기술을 사용하는 접근성 지원 방법을 문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문서에서 기술을 사용하는 모든 방법은 위의 접근성 지원 웹 콘텐츠 기술의 정의를 충족해야 한다.

접근성 지원 웹 기술 사용 이해

개별 저작자는 일반적으로 어떤 웹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실제로 어떤 버전의 보조 기술 및 사용자 에이전트에서 지원되는지 결정하는 데 필요한 모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저작자는 어떤 보조 기술이 어떤 웹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을 지원하는지 문서화한 공개 문서 편집물에 의존할 수 있다. 공개라는 말은 편집물과 그 문서가 반드시 공공 기관에 의해 생성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단지 대중이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누구든지 "웹 기술 사용 및 접근성 지원"에 대한 공개 문서 편집본을 만들 수 있다. 사람들은 편집물을 만들고 저작자가 참조할 수 있는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공개적으로 문서화되어 있는 한 저작자나 고객 등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용도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고객이나 다른 사람들은 언제든지 자신의 환경이나 언어에 맞는 기술을 선택하고 콘텐츠 제작에 사용할 기술을 지정할 수 있다. 저작자는 정확성과 유용성에 대해 확고한 평판을 얻은 출처를 사용하도록 강력히 권장된다. 기술 개발자는 자신의 기술에 대한 접근성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실무 그룹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작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문서만이 장기적으로 시장 인지도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WCAG에는 공개적으로 문서화된 편집물을 사용하거나 그러한 편집물에서 사용되는 기술만 사용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없다. 공개 문서화된 편집물은 저자가 보조 기술 지원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거나 주류 및 보조 기술 지원의 최신 동향을 따라가기에 시간이 부족한 경우 준수의 중요하지만 다소 복잡한 측면을 저작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만 설명된다.

저작자, 회사 또는 기타 사람들은 접근성 지원 기술 사용에 대한 자체 편집물을 만들고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이는 WCAG 회의에서 허용된다. 그러나 고객, 회사 또는 기타 사람들은 맞춤형 또는 공개 편집물에서 사용된 기술을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웹 기술 사용에 대한 접근성 지원 문서화를 참조하라.

접근성 지원 진술

준수 선언이 접근성 지원을 문서화할 수 있는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이 준수 선언은 사용자 에이전트 A, B, C와 보조 기술 X, Y, Z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언어로 점검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근성 지원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이는 우리가 모든 항목을 통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품을 사용하여 WCAG 2.0 레벨 A의 성공 기준을 통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이 준수 선언은 WCAG 2.0 기술에 문서화된 기술 및 사용자 에이전트 참고 사항의 사용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언어에 대한 접근성 지원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이는 또한 "XYZ 조직의 접근성 지원 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준수를 위해 의존한)에 대한 접근성 지원 문서를 기반으로 한다.
  3. 이 준수 선언은 "WCAG 2.0에 대한 기술 Z 접근성 지원 기술"에 문서화된 대로 기술 Z의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의 언어에 대한 접근성 지원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4. 이 준수 선언은 기술 A에 대한 접근성 지침 및 기술 B에 대한 접근성 지침의 사용을 기반으로 콘텐츠 언어에 대한 접근성 지원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 지원 정보는 이 지침에 문서화되어 있는 "제품 XYZ 접근성 지원 요구 사항"에서 찾을 수 있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의 이해

여러 성공 기준에는 콘텐츠(또는 콘텐츠의 특정 측면)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콘텐츠가 작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웹 기술(예: HTML, CSS, PDF, GIF, MPEG 등)을 사용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다양한 유형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면 사용된 기술이 보조 기술을 포함한 기타 사용자 에이전트와 브라우저의 접근성 기능과 함께 동작해야 한다. 무언가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되어야 한다는 성공 기준을 충족하려면 보조 기술 지원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되어야 한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는 콘텐츠는 개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감각 형식(예: 시각, 청각) 또는 표현 방식으로 (AT를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기존 보조 기술이 이를 수행할 수 없다면 정보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된다고 말할 수 없다.

이 용어는 실무 그룹이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정확히 지정하지 않고도 보조 기술(및 접근성 도구 역할을 하는 기타 사용자 에이전트)이 정보에 접근해야 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는 기술의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용어를 사용하면 지침을 충족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해야 하는 항목을 식별한 다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는 별도의 문서(달성 방법, 이해 및 기법 문서)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항목을 나열할 수 있다.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 지원을 기반으로 언제든지 작동하고 충분할 기술이다.

"접근성 지원"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

"접근성 지원"은 웹 기술을 사용하는 특정 방식에 대한 사용자 에이전트(보조 기술 포함)의 지원과 관련된다. 접근성이 지원되는 웹 기술의 사용은 주류 사용자 에이전트(브라우저 및 플레이어 등)의 보조 기술 및 접근 기능과 함께 동작한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은 웹 콘텐츠의 정보와 관련된다.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이 올바르게 사용되면 보조 기술과 사용자 에이전트는 콘텐츠의 정보에 접근하여(즉,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콘텐츠의 정보를 판별)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두 가지 개념이 함께 작동하여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작자는 접근성이 지원되는 기술의 사용에만 의존해야 하며, 정보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 가능하고 따라서 보조 기술 및 사용자 에이전트가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해당 기술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준수 대체 버전 이해

준수 요구사항 #1은 "준수 대체 버전"이 있는 한 미준수 페이지가 준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준수 대체 버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준수 대체 버전

버전은

  1. 지정된 수준을 준수하며,
  2. 동일한 인간 언어로 동일한 정보와 기능을 모두 제공하고,
  3. 미준수 콘텐츠만큼 최신 상태이며,
  4. 적어도 다음 중 하나가 참이다

    1. 준수 버전은 접근성 지원 매커니즘을 통해 미준수 페이지에서 접근할 수 있거나,
    2. 미준수 버전을 준수 버전에서만 접근할 수 있거나,
    3. 미준수 버전은 준수 버전에 도달하기 위한 매커니즘도 제공하는 준수 페이지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이 정의에서 "접근할 수만 있다"는 것은 사용자가 규격에 맞는 버전에서 막 벗어난 경우가 아니면 사용자가 미준수 페이지에 "접근"(로드)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건부 리디렉션과 같은 일부 매커니즘이 있음을 의미한다.

대체 버전은 원본과 페이지별로 일치할 필요는 없다(예: 준수 대체 버전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음).

여러 언어 버전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제공되는 각 언어별 준수 대체 버전이 필요하다.

다양한 기술 환경이나 사용자 그룹을 수용하기 위해 대체 버전이 제공될 수 있다. 각 버전은 가능한 한 준수해야 한다. 준수 요구 사항 1을 충족하려면 한 버전이 완전히 준수해야 한다.

준수 대체 버전은 미준수 버전만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한 준수 범위 내에 있거나 동일한 웹 사이트에 있을 필요가 없다.

대체 버전을 원본 페이지를 지원하고 이해력을 높이는 보충 콘텐츠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준수 버전을 생성하기 위해 콘텐츠 내에서 사용자 기본 설정을 조정하는 것은 기본 설정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 방법이 접근성을 지원하는 한 다른 버전에 도달하기 위한 허용 가능한 매커니즘이다.

준수 대체 버전 이해를 참조하라.

이는 준수 범위 내의 페이지에 있는 모든 정보와 모든 기능을 준수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준수 대체 버전을 사용하는 저작자는 최종 사용자에게 준수 대체 버전이 있음을 알려야 한다. 이는 링크 텍스트로 명확하게 식별되는 보다 접근하기 쉬운 버전에 대한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체 수단으로, 더 접근하기 쉬운 버전에 접근하는 방법과 대체 버전에 더 접근하기 쉬운 특정 방법(예: "고대비 버전")을 문서화한 지침에 대한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왜 대체 버전을 허용하는가?

WCAG는 왜 웹 페이지의 대체 버전을 준수 선언에 포함하도록 허용하는가? 즉, 준수 또는 선언 범위에 준수 수준에 대한 성공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페이지를 포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페이지에서 아직 접근성이 지원되지 않는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보조 기술 지원이 뒤처지거나 일부 대상 고객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작자는 모든 사용자가 새로운 기술에 의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더 나은 성능, 더 넓은 범위의 양식 사용 가능 등 다른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대체 버전 요구 사항을 통해 저작자는 기술에 접근 가능한 대체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웹 사이트에 접근성이 지원되는 해당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이 적절하게 지원되는 사용자는 새 버전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향후 접근성 지원을 기대하는 저작자는 현재 대체 버전 페이지를 통해 성공 기준을 충족할 수 있으며, 향후 보조 기술(AT) 지원이 제공될 때 다른 페이지와 함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 다양한 이유로 인해 웹 페이지의 일부 콘텐츠를 수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법적 또는 역사적 이유로 문서의 정확한 시각적 사본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 웹 페이지가 사이트에 포함될 수 있지만 사이트 소유자에게 원본 페이지의 콘텐츠를 수정할 법적 권한이 없을 수도 있다.
    • 회사는 이전에 게시된 내용을 법적으로 제거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변경할 수 없다.
    • 저작자는 다른 부서, 기관 또는 회사의 문서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없을 수 있다.
  • 때때로 특정 유형의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한 최상의 경험은 해당 장애를 수용하도록 특별히 웹 페이지를 조정함으로써 제공된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모든 성공 기준을 충족하여 모든 장애를 수용하는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다. 대체 버전 요구 사항은 완전히 호환되는 '대체 버전'이 있는 한 준수 선언 내에 이러한 특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허용한다.
  • 접근성을 보장하는 많은 사이트에는 전해 내려온(legacy) 대량의 문서가 있다. 정보는 접근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되었지만 이러한 파일을 한꺼번에 제거하는 데는 상당한 제도적 저항과 절차적 장애물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조직, 특히 정부 기관에서는 전통적인 인쇄 중심의 절차를 우선시한다. 이러한 조직이 인터넷 출판에 적응하고 접근 가능한 형식에 대한 필요성을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종이에 대한 사고방식을 유지하고 종종 "기본" 버전으로 하드 카피용으로 설계된 형식을 고집한다(전자적으로만 "게시"되는 문서의 경우에도). 실무 그룹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접근 가능한 버전이 쉽게 제공되는 한 금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성공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웹 페이지를 허용할 때 우려되는 점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이러한 미준수 페이지를 접하고 해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으며 "준수 대체 버전"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체 버전 조항의 핵심은 미준수 페이지가 발견될 때 준수 페이지(대체 버전)를 찾을 수 있는 기능이다. 따라서 대체 페이지를 허용하는 준수 요구 사항에서 사용자가 대체 버전 중 접근 가능한 버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대체 버전을 제공하는 것은 WCAG 준수를 위한 대체 옵션이며 선호되는 준수 방법은 모든 콘텐츠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준수 대체 버전을 제공하는 기법

준수 대체 버전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미준수 버전에서 해당 버전을 찾을 수 있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기술이나 상황에 따라 특정 기술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저작자가 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항상 선택할 수 있는 몇 가지 강력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저작자는 웹 서버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기술이 제공된다. 미준수 페이지의 링크는 또 다른 강력한 기술이지만 모든 미준수 기술이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 기술도 개발될 것으로 예상하며 기술이 발생하면 여기에 추가될 것이고 보조 기술을 포함한 사용자 에이전트의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지원이 입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보조 기술에 접근할 수 없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자는 해당 기술이 사용자에게 대체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축할 수 있다.

웹 페이지의 준수 대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충분 기법

이 섹션에서 번호가 매겨진 각 항목은 WCAG 실무 그룹이 이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에 충분하다고 간주하는 기법 또는 기술의 조합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기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다른 기법 사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특히 "기타 기술" 섹션을 참조하라.

  1. G136: Providing a link at the beginning of a nonconforming Web page that points to a conforming alternate version
  2. G190: Providing a link adjacent to or associated with a non-conforming object that links to a conforming alternate version
  3. C29: Using a style switcher to provide a conforming alternate version
  4. SCR38: Creating a conforming alternate version for a web page designed with progressive enhancement
  5. SVR2: Using .htaccess to ensure that the only way to access non-conforming content is from conforming content
  6. SVR3: Using HTTP referer to ensure that the only way to access non-conforming content is from conforming content
  7. SVR4: Allowing users to provide preferences for the display of conforming alternate versions

Common Failures Identified by the Working Group

웹 페이지의 준수 대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 기법(조언)

  • 준수 버전과 비준수 버전 간의 상호 링크 제공(링크 추가 예정)
  • 검색 결과에서 부적합 콘텐츠 제외(링크 추가 예정)
  • 콘텐츠 협상 사용(링크 추가 예정)
  • 기술이 꺼져 있거나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접근성을 지원하지 않는 기술에 의존하는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는다.(링크 추가 예정)
  •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부적합 페이지의 URI에서 적합한 대체 버전의 위치를 ​​허용한다(링크 추가 예정)

준수대체 버전의 예

  • 여러 버전이 있는 인트라넷 사이트

    한 대기업은 인트라넷 사이트에서 최신 웹 기술을 사용하면 기술 기반이 다른 다양한 사무실 위치와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 및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개별 직원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사에서는 접근성 지원 콘텐츠 기술을 보다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모든 레벨 A 성공 기준을 충족하는 콘텐츠의 대체 버전을 만들었다. 두 버전은 서로 연결된다.

  •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정보 사이트

    정보 사이트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방문자가 원하는 주제를 빠르게 찾을 수 있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사이트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사용자 에이전트의 최신 버전에서만 지원되는 대화형 메뉴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러한 특정 사용자 에이전트를 사용하지 않는 방문자가 여전히 사이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사용자 에이전트에는 대화형 메뉴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탐색 매커니즘이 제공된다.

"웹 페이지" 이해

웹 페이지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웹 페이지

HTTP를 사용하여 단일 URI에서 얻은 미포함(non-embedded) 리소스와 렌더링에 사용되거나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함께 렌더링되도록 의도된 기타 리소스

"기타 리소스"는 기본 리소스와 함께 렌더링되지만 반드시 서로 동시에 렌더링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리소스는 웹 페이지로 간주되기 위해 준수 범위 내에서 "미포함"되어야 한다.

이 표준에서 "웹 페이지"라는 용어는 정적 HTML 페이지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지침에서는 지침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 용어는 광범위한 기술을 포괄하는 기술 발전과 함께 의미가 커졌으며 그 중 많은 기술은 전혀 '페이지와 유사'하지 않다. 또한 전체 가상 대화형 커뮤니티를 표시할 수 있는 "페이지"를 포함하여 웹에서 점점 더 동적으로 나타나는 웹 페이지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라는 용어에는 단일 URI에서 찾을 수 있는 몰입형 대화형 영화와 같은 경험이 포함된다.

"대체 텍스트" 이해

대체 텍스트는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볼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대신 사용되는 텍스트입니다.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에는 그림, 차트, 애플릿, 오디오 파일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볼 수 없는 사람은 그림이나 차트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 텍스트가 제공된다. 미래에는 정보를 텍스트로 저장하면 해당 정보를 수화, 그림 또는 더 간단한 형태의 글로 번역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이 텍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려면 해당 텍스트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 가능"해야 한다. 이는 장애인이 사용하는 보조 기술(및 브라우저의 접근성 기능)에서 텍스트를 읽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할 수 없는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접할 때 이러한 대체 텍스트를 찾는 것도 가능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려면 텍스트가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사용자가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사용할 수 없음)에 도달할 때 대체 텍스트(사용할 수 있음)를 찾기 위해 보조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