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침 2.4:탐색 가능성

의도

이 지침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찾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찾기, 탐색, 방향 설정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탐색을 위해서는 가능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화면 낭독기는 콘텐츠를 선형 순서로 표시되어야 하는(오디오이므로) 합성 음성으로 변환한다. 이 지침의 일부 성공 기준에서는 화면 낭독기 사용자가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어떤 조항을 취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다른 것들은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바와 페이지 헤더를 더 쉽게 인식하고 반복되는 콘텐츠를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비정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나 동작은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탐색 기능에는 두 가지 주요 역할이 있다.

  • 사용자에게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것
  • 사용자가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지침은 지침 1.3과 긴밀하게 작동하며, 이는 탐색의 핵심인 콘텐츠의 모든 구조를 인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목은 사용자가 콘텐츠 내에서 방향을 잡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특히 중요한 매커니즘이다. 많은 보조 기술 사용자는 적절한 제목을 사용하여 정보를 훑어보고 콘텐츠의 다양한 섹션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제목에 대한 성공 기준 1.3.1은 지침 2.4의 일부 측면도 다루고 있다.

이 지침의 성공 기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