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공기준 이해 2.3.1:3회 또는 임계값 이하의 번쩍임 (Level A)

요약

목표
콘텐츠가 발작을 유발하지 않는다.
할 일
번쩍이는 콘텐츠를 피하거나 임계값 미만으로 유지하라.
중요성
번쩍이는 콘텐츠는 편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의도

이 성공 기준의 목적은 사용자가 광과민성 발작 없이 사이트의 전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광과민성 발작 장애가 있는 개인은 몇 번 이상 깜박이는 동안 특정 빈도로 깜박이는 콘텐츠에 의해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람들은 다른 색상보다 빨간색 깜박임에 훨씬 더 민감하므로 강렬한 적색 깜박임에 대한 특별한 테스트가 제공된다. 이 지침은 원래 콘텐츠를 더 가까운 거리에서(더 큰 시야각을 사용하여) 보는 데스크탑 모니터에 맞게 조정된 방송 산업 지침을 기반으로 했다.

번쩍임은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컴퓨터 또는 렌더링되는 콘텐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저작자는 앞의 두 가지를 통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디스플레이, 컴퓨터의 설계와 속도로 해결될 수 있다. 이 기준의 목적은 번쩍임 임계값을 위반하는 깜빡임이 콘텐츠 자체로 인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는 일련의 섬광 또는 빠른 폭발의 클로즈업을 보여주는 비디오 클립이나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성공 기준은 넓은 주파수 범위(3~50Hz) 내에서 단일 픽셀의 번쩍임을 허용하지 않는 WCAG 1.0의 훨씬 더 제한적인 기준을 대체한다. 이 적합 기준은 영국 및 기타 국가에서 TV 방송에 사용 중인 기존 규정을 기반으로 하며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청에 맞게 조정되었다. WCAG 2.0에서는 평가를 위한 참조 화면 해상도로 1024 x 768 화면이 사용되었다. 341 x 256 픽셀 블록은 일반적인 시청 거리에서 10도 뷰포트를 나타낸다. (10도 필드는 기존 규정에서 가져온 것이며 사람들이 사진 자극에 가장 민감한 눈의 중심 시력 부분을 나타낸다.)

다양한 화면 크기의 장치(소형 휴대용 디스플레이부터 대형 거실 디스플레이까지)가 확산되고 CSS 픽셀을 밀도 독립적인 측정 단위로 채택함에 따라 이전 평가 기준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일관된 크기의 이미지는 모든 장치에서 상대적으로 동일한 비율의 사용자 시야를 사용한다. 대형 화면에서는 이미지가 차지하는 크기가 작아지지만, 대형 화면이 시야에서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모바일 화면에서는 이미지가 화면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화면 자체는 사용자의 시야에서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CSS 픽셀로 표시되는 깜박이는 콘텐츠의 동일한 차원은 여전히 ​​일관된 평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원본 픽셀 블록을 CSS 픽셀로 대체한다는 것은 깜박이는 결합 영역이 341 x 256 CSS 픽셀, 즉 87,296 CSS 픽셀의 깜박이는 영역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최대 규모와 사용자 에이전트의 표준 확대/축소 수준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특정 영역과 전체 화면에서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의 경우 전체 화면에서 비디오의 위험을 분석해야 한다.

비디오 콘텐츠가 sRGB 이외의 색상 공간으로 제공되는 경우 가장 높은 동적 범위를 제공하는 버전을 테스트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일반 번쩍임의 업계 표준 정의는 더 어두운 이미지가 160cd/m2 미만인 경우 20cd/m2 이상의 휘도 변화이다. (ITU-R BT.1702.) 이는 표준 동적 범위(SDR) 및 높은 동적 범위(HDR) 콘텐츠에 적용된다. 더 어두운 상태가 160cd/m2 이상인 HDR 콘텐츠의 경우 일반 번쩍임은 Michelson 대비가 1/17 이상이다. 여기서 Michelson 대비는 (LHigh - LLow) / (LHigh + LLow)로 계산한다. 여기서 LHigh와 Llow는 각각 높은 휘도 상태와 낮은 휘도 상태이다.

반복될 수 있는 짧은 클립(예: GIF 애니메이션)의 경우 반복하는 동안 콘텐츠를 분석해야 한다.

참고

규정은 사람이 선택하는 실제 시청 거리를 설명할 수 없다. 이상적인 시청 거리보다 화면에 더 가까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통과하는 깜박이는 영역의 영향을 받는다. 줌이나 화면 확대에 의존하는 사용자에게도 동일한 문제가 적용된다. 반대로 이상적인 거리보다 화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는 임계값보다 큰 깜박이는 영역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번쩍임의 합산면적은 실제로 동시에 섬광을 발하는 전체 면적을 의미한다. 화각 10도 내에서 동시에 깜박이는 연속 영역을 합산하여 계산된다.

참고

"깜박임"과 "번쩍임"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동일한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 "깜박임"은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문제를 일으키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깜박임은 멈추는 한 짧은 시간 동안 허용될 수 있다(또는 멈출 수 있는 한).
  • "번쩍임"은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의미한다(초당 3회 이상이고 충분히 크고 밝은 경우). 이는 단 1초도 허용할 수 없으며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용자가 플래시를 끌 수 있는 것보다 발작이 더 빨리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를 끄는 것도 선택 사항이 아니다.
  • 깜박임은 보통 초당 3회 이상의 속도로 발생하지 않지만, 그렇게 발생할 수도 있다. 만약 깜박임이 초당 3회 이상의 속도로 발생한다면, 이는 번쩍임으로 간주된다.

참고

"강렬한 적색이 포함된 상반되는 전환의 쌍"에 대한 (WCAG 2.2에서) 새로운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한 쪽의 R/(R + G + B) 값이 0.8이상이고 CIE 1976 UCS 색도도(chromaticity diagram)에서 반대 쪽과의 차이가 0.2(단위 없음)보다 큰 한 쌍의 전환이다. [ISO_9241-391]

색도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SQRT( (u'1 - u'2)^2 + (v'1 - v'2)^2 )

여기서 u'1과 v'1은 상태 1의 색도 좌표이고 u'2와 v'2는 상태 2의 색도 좌표이다. u'와 v'의 1976 UCS 색도 좌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u' = 4 * X / (X + 15 * Y + 3 * Z)
  • v' = 9 * Y / (X + 15 * Y + 3 * Z)

여기서 X, Y, Z는 CIE XYZ 색 공간에 있는 색상의 삼색 자극값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X = 0.4124564 * R + 0.3575761 * G + 0.1804375 * B
  • Y = 0.2126729 * R + 0.7151522 * G + 0.0721750 * B
  • Z = 0.0193339 * R + 0.1191920 * G + 0.9503041 * B

여기서 R, G, B는 "상대 휘도" 정의에 지정된 대로 0~1 범위의 값이다.

이점

  • 번쩍이는 자료를 볼 때 발작을 일으키는 개인은 대체 텍스트에만 제한되지 않고 발작 없이 사이트의 전체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여기에는 광과민성 간질뿐만 아니라 기타 광과민성 발작 장애가 있는 사람도 포함된다.

예제

  • 웹 사이트에는 기관총 발사의 총구 섬광 비디오가 있지만 번쩍이는 이미지의 크기는 번쩍임 임계값 크기 아래의 화면의 작은 부분으로 제한된다.
  • 매우 밝은 번개가 번쩍이는 장면이 포함된 영화는 번개가 1초에 세 번만 번쩍이도록 편집된다.

관련 자료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보증을 암시하지 않는다.

기법

이 섹션에서 번호가 매겨진 각 항목은 WCAG 실무 그룹이 이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에 충분하다고 간주하는 기법 또는 기법의 조합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기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다른 기법 사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CAG 성공 기준에 대한 기법 이해, 특히 "기타 기법" 섹션을 참고하라.

충분 기법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