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11YKR Docs
검색
Ctrl
K
취소
RSS
GitHub
Discord
테마 선택
어두운
밝은
자동
문서 목록
WCAG 2 한국어 번역본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 2.2
WCAG 2 이해
WCAG 2.2 이해 문서 목록
인식의 용이성
이해 1.1 대체 텍스트
이해 1.1.1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이해 1.2 시간 기반 미디어
이해 1.2.1 오디오 전용 및 비디오 전용(사전 녹음/녹화된)
이해 1.2.2 자막 (사전 녹음된)
이해 1.2.3 오디오 설명 또는 미디어 대체 수단 (사전 녹화된)
이해 1.2.4 자막 (실시간)
이해 1.2.5 오디오 설명 (사전 녹화된)
이해 1.2.6 수어 (사전 녹화된)
이해 1.2.7 확장형 오디오 설명 (사전 녹화된)
이해 1.2.8 미디어 대체 수단 (사전 녹음/녹화된)
이해 1.2.9 오디오 전용 (실시간)
이해 1.3 적응 가능성
이해 1.3.1 정보와 관계
이해 1.3.2 의미있는 순서
이해 1.3.3 감각 특성
이해 1.3.4 방향
이해 1.3.5 입력 목적 식별
이해 1.3.6 목적 식별
이해 1.4 식별 가능성
이해 1.4.1 색상 사용
이해 1.4.2 오디오 제어
이해 1.4.3 명도 대비 (최소)
이해 1.4.4 텍스트 크기 조정
이해 1.4.5 텍스트 이미지
이해 1.4.6 명도 대비 (향상된)
이해 1.4.7 낮은 배경음 또는 배경음 없음
이해 1.4.8 시각적 표현
이해 1.4.9 텍스트 이미지 (예외 없음)
이해 1.4.10 재정렬
이해 1.4.11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명도대비
이해 1.4.12 텍스트 간격
이해 1.4.13 마우스오버 혹은 키보드 초점을 받은 콘텐츠
이해의 용이성
이해 2.1 키보드 접근성
이해 2.1.1 키보드
이해 2.1.2 키보드 함정 방지
이해 2.1.3 키보드 (예외 없음)
이해 2.1.4 문자 단축키
이해 2.2 충분한 시간 제공
이해 2.2.1 시간 제한 조정
이해 2.2.2 일시정지, 중지, 숨김
이해 2.2.3 시간 제한 없음
이해 2.2.4 방해 금지
이해 2.2.5 재인증
이해 2.2.6 시간 초과(Timeouts)
이해 2.3 발작 및 신체 반응
이해 2.3.1 3회 또는 임계값 이하의 번쩍임
이해 2.3.2 3회 번쩍임
이해 2.3.3 대화형 애니메이션
이해 2.4 탐색 가능성
이해 2.4.1 블록 건너뛰기
이해 2.4.2 페이지 제목 제공
이해 2.4.3 초점 순서
이해 2.4.4 링크 목적(맥락 상의)
이해 2.4.5 다양한 방법 제공
이해 2.4.6 제목과 레이블
이해 2.4.7 초점 시각화
이해 2.4.8 위치 제공
이해 2.4.9 링크 목적 (링크 단독)
이해 2.4.10 섹션 제목
이해 2.4.11 초점 표시 (최소)
이해 2.4.12 초점 표시 (향상된)
이해 2.4.13 초점 형태
이해 2.5 입력 방식
이해 2.5.1 포인터 제스처
이해 2.5.2 포인터 입력 취소
이해 2.5.3 이름 안의 레이블
이해 2.5.4 움직임 기반 실행
이해 2.5.5 타겟 크기 (향상된)
이해 2.5.6 동시 입력 매커니즘
이해 2.5.7 끌기(Dragging) 동작
이해 2.5.8 타겟 크기 (최소)
운용의 용이성
이해 3.1 가독성
이해 3.1.1 페이지 언어 표시
이해 3.1.2 부분적인 언어 표시
이해 3.1.3 생소한 단어
이해 3.1.4 약어
이해 3.1.5 독해 수준
이해 3.1.6 발음
이해 3.2 예측 가능성
이해 3.2.1 초점 활성
이해 3.2.2 입력 활성
이해 3.2.3 일관된 탐색
이해 3.2.4 일관된 식별
이해 3.2.5 요구에 의한 변화
이해 3.2.6 일관된 도움말
이해 3.3 입력 지원
이해 3.3.1 오류 식별
이해 3.3.2 레이블 또는 지시문
이해 3.3.3 오류 수정 제안
이해 3.3.4 오류 예방 (법률, 금융, 데이터)
이해 3.3.5 도움말
이해 3.3.6 오류 예방 (전체)
이해 3.3.7 중복 입력
이해 3.3.8 접근 가능한 인증 (최소)
이해 3.3.9 접근 가능한 인증 (향상된)
견고성
이해 4.1 호환성
이해 4.1.1 파싱 (무효화 및 삭제)
이해 4.1.2 이름, 역할, 값
이해 4.1.3 상태 메시지
기타 문서
WCAG 이해 소개
WCAG 성공 기준에 대한 기법 이해
WCAG 성공 기준에 대한 점검 규칙 이해
준수 이해
다른 문서에서 WCAG를 참조하는 방법
웹 기술 사용을 위한 접근성 지원 문서
메타데이터 이해
WCAG2ICT
작업중
용어집
Abbreviation[약어]
Accessibility services of platform software[플랫폼 소프트웨어의 접근성 서비스]
Accessibility supported[접근성 지원]
Alternative for time-based media[시간 기반 미디어에 대한 대체수단]
Ambiguous to users in general[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애매한]
ASCII art[아스키 아트]
Assistive technology[보조 기술]
Audio[오디오]
Audio Description [오디오 해설]
Audio only[오디오 전용]
Blinking[깜빡임]
Blocks of text[텍스트 블록]
CAPTCHA[캡챠]
Captions[자막]
Change of context[맥락의 변화]
Closed Functionality[폐쇄형 기능]
Cognitive function test[인지 기능 검사]
Conformance[준수]
Conforming alternate version[준수 대체 버전]
Content[(웹) 콘텐츠]
Context-sensitive help[맥락에 적합한 도움말]
Contrast ratio[명도대비율]
Correct reading sequence[올바른 읽기 순서]
CSS pixel[CSS 픽셀]
Document[문서]
Down-event[다운 이벤트]
Dragging movement[끌기 동작]
Emergency[긴급 상황]
Essential[필수적인]
Extended audio description[확장형 오디오 해설]
Flash[번쩍임]
Focus indicator[초점 표시기]
Functionality[기능]
General flash and red flash thresholds[일반 번쩍임과 적색 번쩍임 임계값]
Human language[인간 언어]
Idiom[관용어]
Image of text[텍스트 이미지]
Informative[정보성]
Input error[입력 오류]
Jargon[전문 용어]
Keyboard interface[키보드 인터페이스]
Keyboard shortcut[키보드 단축키]
Label[레이블]
Large scale[커다란 (텍스트)]
Legal commitments[법률 이행]
Link purpose[링크 목적]
Live[실시간]
Lower secondary education level[중학교 수준]
Mechanism[메커니즘]
Media alternative for text[텍스트에 대한 미디어 대체수단]
Menu-driven Interface[메뉴 구동 인터페이스]
Minimum bounding box[최소 경계 상자]
Motion animation[모션 애니메이션]
Name[이름]
Navigated sequentially[순차적으로 탐색된]
Non-text content[텍스트가 아닌 콘텐츠]
Normative[규범적인]
on a full-screen window[전체화면 창]
Paused[일시정지된]
Perimeter[외곽]
Platform Software[플랫폼 소프트웨어]
Pointer input[포인터 입력]
Prerecorded[사전 녹음된/녹화된]
Presentation[표현]
Primary education level[초등 교육 수준]
Process[과정]
Programmatically determined[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되는]
Programmatically determined link context[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되는 링크 맥락]
Programmatically set[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설정된]
Pure decoration[순수한 장식]
Real-time event[실시간 이벤트]
Region[영역]
Relationships[관계]
Relative luminance[상대 휘도]
Relied upon[의존하는]
Role[역할]
Same functionality[동일한 기능]
Same relative order[동일한 상대 순서]
Satisfies a success criterion[성공기준 충족]
Section[섹션]
Set of Documents[문서 세트]
Set of Software Programs[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세트]
Set of web pages[웹 페이지 세트]
Sign language[수어]
Sign language interpretation[수어 통역]
Single pointer[단일 포인터]
Software[소프트웨어]
Specific sensory experience[특정 감각에 기반한 경험]
State[상태]
Status message[상태 메시지]
Structure[구조]
Style property[스타일 속성]
Supplemental content[보충 콘텐츠]
Synchronized media[동기화된 미디어]
Target[타겟]
Technology[기술]
Text[텍스트]
Text alternative[대체 텍스트]
Up-event[업 이벤트]
Used in an unusual or restricted way[특이하거나 제한된 방식으로 사용된]
User agent[사용자 에이전트]
User-controllable[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User inactivity[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User interface component[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Video[비디오]
Video-only[비디오 전용]
Viewport[뷰포트]
Virtual Keyboard[가상 키보드]
Visually customized[시각적으로 변경 가능한]
Web page[웹 페이지]
구버전 모음
참고용
WCAG 2.2 - v231005
KWCAG 2.2
접근성 점검 도구
참고 자료
기타 참고 자료
RSS
GitHub
Discord
테마 선택
어두운
밝은
자동
Virtual Keyboard[가상 키보드]
WCAG2ICT
키보드 역할을 하며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키 입력으로 처리되는 출력을 생성하는 모든 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