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1 키보드 접근성

지침

키보드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키보드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키보드 사용자는 물론 음성 입력 사용자(키보드 입력으로 변환), 마우스 사용자(화면 키보드 활용), 그리고 키 입력을 시뮬레이션하는 각종 보조 기술 사용자 모두가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키보드 입력에 시간 제약이 없는 한, 다른 어떤 입력 방식도 키보드 입력과 같은 유연성이 없고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이 보편적으로 지원받고 조작할 수 없다.

보편적인 키보드 입력을 제공한다고 해서 다른 유형의 입력을 지원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최적화된 음성 입력, 최적화된 마우스/포인터 입력 등도 모두 바람직하다. 핵심은 키보드 입력과 컨트롤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기기에는 기본 키보드가 없다. 예를 들어 PDA나 휴대전화가 그렇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에 웹 브라우징 기능이 있다면, 텍스트나 “키 입력”을 생성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을 갖추고 있을 것이다. 이 지침은 “키보드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웹 콘텐츠가 키보드, 키보드 에뮬레이터, 또는 키보드나 텍스트 입력을 생성하는 기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나올 수 있는 키 입력으로 제어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