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 기준(SC)
콘텐츠가 제시되는 순서가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경우, 올바른 읽기 순서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다.
(Level A)
성공 기준(SC)
콘텐츠가 제시되는 순서가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경우, 올바른 읽기 순서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성공 기준의 의도는 사용자 에이전트로 하여금 콘텐츠의 대체 표현을 제공할 때 의미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읽기 순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의미 있는 콘텐츠의 순서를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성공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콘텐츠는 보조 기술이 잘못된 순서로 읽거나, 대체 스타일 시트나 다른 포맷 변경사항이 적용되어서 사용자를 헷갈리거나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순서가 의미있다는 것은 콘텐츠의 순서를 바꾸면 그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한 페이지에 서로 독립적인 두 개의 기사가 있는 경우, 이 기사들의 상대적인 순서는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 서로 얽혀 있는 내용이 아니라면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각각의 기사 자체는 의미 있는 순서를 가질 수도 있지만, 기사를 담고 있는 컨테이너는 의미 있는 순서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요소의 의미는 콘텐츠가 의미 있는 순서인지 여부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HTML에서는 텍스트는 항상 의미 있는 순서를 갖는다. 표(table)와 순서 있는 목록(ol)은 의미 있는 순서를 갖지만, 순서 없는 목록(ul)은 그렇지 않다.
콘텐츠의 순서가 항상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본문(main)과 내비게이션(nav) 영역의 상대적인 순서는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두 영역은 어느 쪽이 먼저 와도 프로그램으로 결정된 읽기 순서에는 문제가 없다. 또 다른 예로, 잡지 기사에 여러 부가적인 콘텐츠가 있는 경우, 기사와 부가적인 콘텐츠의 순서가 의미를 바꾸지는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여러 가지 다른 읽기 순서가 있더라도 성공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명확히 하자면,
이 섹션의 각 번호가 매겨진 항목은 접근성 지침 실무 그룹이 이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기법 또는 기법의 조합을 나타낸다. 기법은 기준의 최소 요구 사항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러한 기법에서 포괄하지 않은 기준 충족의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기법 사용에 대한 정보는 WCAG 성공 기준에 대한 기법 이해, 특히 “기타 기법” 섹션을 참조하라.
다음은 접근성 지침 실무 그룹에서 이 성공 기준의 실패로 간주하는 일반적인 실수이다.